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집안의 이런 화초 어때요?

꽃상식/실내꾸미기☆

by 은혜꽃 2007. 9. 12. 01:13

본문

  • 집안에 이런 화초 어때요
  •  
  • 하양이~~님  1:1질문하기
  • 조회 4245  2006-05-08 16:46
  •  

  • 현관 신발장 위에 테이블 야자를 올려놓으면 신발장의 불쾌한 냄새가 사라진다.

    가스 레인지 옆에는 벤자민 고무나무를 세워 두자.

    거실과 주방의 경계선에 두어 조리중에 불완전 연소된 이산화황 등의 오염물질을 흡수한다.

    화장실 변기 위에는 암모니아를 흡수하는 어린 관음죽 화분을 올린다.

    그늘지고 습한 환경에서도 잘 자란다.

    안방 침대 머리맡에 담배 연기를 흡수하는 네프로네피스 화분을 놓는다.

    침대까지 배어있던 담배 냄새가 사라진다.

    거실 텔레비전 옆에는 산세베리아를 놓는다.

    산세베리아에서 나오는 음이온이 전자파를 차단한다

     

    거실엔 자마이카·파키라
    ◈거실 = 자마이카, 파키라, 행운목, 벤저민 고무나무, 인도고무나무 등 키가 큰 식물을 배치하는것이 좋다.

    집안분위기도 한결 산뜻해진다.

    자마이카와 인도고무나무는 카펫이나 벽지 등에서 나오는 유독가스를 흡수하고 머리를 맑게 해준다.

    또 네프로네피스를 공중걸이 화분에 매달아 놓으면 담배냄새를 없애준다. 치자나무나 라벤더는 우울증, 신경질을 줄이는 효과가 있어 대화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파스텔톤 꽃은 침대에
    ◈침실 = 편안한 잠자리를 위해 안개꽃 등 파스텔톤의 작은 꽃이 좋다. 은은한 분위기의 동양란, 갓세피아나, 드라세나도 괜찮다.

    ◈욕실 = 암모니아를 흡수하는 관음죽(사진)과 국화가 좋다. 세면대 위에는 집중력을 높이는 히아신스, 프리지아 등으로 장식하면 상쾌한 하루를 시작하는데 도움이 된다.


    주방엔 고목나무등이 좋아
    ◈주방 = 스파티필름, 벤저민 고무나무가 적당하다. 가스렌지에서 나오는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음식냄새를 없애준다. 주방 창가에는 향이 싱그러운 허브 화분을 놓으면 좋다. 방향제 역할 뿐 아니라 음식재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현관 = 출입이 방해가 될 정도로 키가 큰 식물은 피한다. 신을 벗고 신을 때 시선이 머무는 곳에 식물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드라세나, 시클라멘, 테이블야자, 마란타, 아글레오네마, 아디안툼 등이 좋다.

     

    자료원 : 2004. 6.15 중앙일보

     

     

    과습한 것을 싫어하는 화초.
    게발선인장, 다육식물류, 디펜바키아, 라벤다, 로즈마리, 산세베리아, 선인장류, 시서스, 알로에, 제라늄, 카랑코에, 콜레우스, 크로톤,타임, 페페로미아, 하트덩굴, 호야, 홍콩야자,

    습도가 높은 것을 좋아하는 화초
    관음죽, 골드크레스트, 나비란, 네프롤레피스, 대나무, 대만고무나무, 렉스베고니아, 마란타, 마지나타, 목향나무, 벤자민, 수국, 시서스, 싱고니움, 아글라오네마, 아나나스, 아디안텀, 아레카야자, 아펠란드라, 안스륨, 오죽, 와네끼, 청목, 치자나무, 칼라데아, 칼라듐, 콜레우스, 피닉스야자, 피토니아, 필레아, 필로덴드론, 하이포에스테스, 헤고나무

     

    ①국화(Chrysanthemum)
    ‘굳은 절개’라는 꽃말이 있는 국화는 공기 중의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화장실에 두는 것이 가장 효용성이 높은데, 햇빛을 충분히 받아야 잘 자라므로 평소엔 창가에 두었다가 볼 일(?) 볼 때 욕실로 옮기는 방법을 취한다. 물기가 마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화분 관리 방법. ♠ 적당한 장소: 욕실

    ②스파디 필룸(Peace Lily)
    일정 온도만 유지되면 하얀색 꽃대가 일년 내내 올라오는 스파디 필룸은 매니큐어 제거제나 다른 뷰티 제품에 사용되는 화학물인 아세톤을 흡수한다. 통풍이 잘 안 되는 화장실에 반드시 두어야 할 아이템.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별 문제 없다. 흙은 마르지 않도록 유지할 것. ♠ 적당한 장소: 욕실, 화장대 옆

    ③야자나무(dwarf date palm)
    페인트, 니스, 이음새 처리에 사용한 본드, 합판 등에서 나오는 유독 가스를 쭉쭉 흡수하기 때문에 새롭게 리모델링한 아파트에 두면 좋다. 개조한 집의 집들이 선물로 최고의 아이템. 반그늘에서 관리하되 여름에는 물을 충분히 주어 고온다습한 환경을 만들어준다. 분무기로 자주 물을 뿌려줄 것. ♠ 적당한 장소: 리모델링한 아파트 실내

    ④산세비에리아(Sansevieria)
    뱀같이 지그재그 무늬가 있어 ‘Snake Plant’라고도 불리는 다육질 식물로 빛을 아주 좋아한다. 음이온을 발생하여 일본에서는 가드닝 상품으로 대유행 중. 보통 화분보다 30배 이상 음이온을 발생하기 때문에 집 안 곳곳에 두면 실내 공기가 맑아진다. 흙이 말라도 별 이상이 없어 겨울에는 한 달에 한 번 정도만 물을 주어도 잘 자란다. ♠ 적당한 장소: 집 안 어디라도 good. 아이방



    ⑤거베라(gerbera daisy)
    사계절 구입 가능한 거베라는 플라스틱 소재의 쓰레기 봉투나 종이 타월, 그밖의 가정용 제품 등에서 새어 나오는 포름알데히드(무색유독의 수용성 기체)를 제거하기 때문에 주방에 두는 것이 제일 좋다. 흙은 마르지 않아야 되지만 그렇다고 흠뻑 젖어도 안 되기 때문에 주의해서 기를 것. ♠ 적당한 장소: 주방

    ⑥산데리아나(dracaena sanderiana)
    컴퓨터 스크린, 프린터, 복사기로부터 방출되는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탁월한 산데리아나는 사무실용 화분으로 제격. 자주 깨끗한 천으로 잎을 닦아주고, 분무기로 물을 뿌려주면 활동이 더 활발해진다. 일광이 부족하면 잎이 자라지 않고 잎의 빛깔도 나빠지는 반면, 해가 많으면 잎이 타는 경우가 많다. 반광인 장소가 키우는 데 적당. ♠ 적당한 장소: 서재 컴퓨터 책상 옆

    ⑦아이비(Ivy)
    새 커튼, 실내장식 용품, 깔개 등으로부터 나오는 화학적 발산물을 흡수한다. 행잉 화분에 심어 거실 커튼 앞으로 걸어둘 것. 추위, 건조에도 강해 비교적 키우기 쉬운 식물이다. 겨울보다 여름에 이상이 잘 생기는데, 온도가 높은 때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도록 한다. 그렇지 않으면 뿌리가 질식하여 금세 시든다. ♠ 적당한 장소: 거실용으로 완벽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기오염하면 외출했을 때나 걱정하는 일로 알지만, 놀랍게도 수치적으로는 실내공기가 실외보다 2배에서 5배까지 더 오염돼 있다.

    오염의 원인은 가정용 세제로부터 새카펫이나 벽면으로부터 스며 나오는 화학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런 오염된 공기는 천식이나 알레르기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데, 다행히도 몇몇 가정용 식물들이 이 오염된 공기를 뿌리 시스템 내로 흡수해 제거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NASA 연구원이었던 B.C.Wolverton 박사는 『신선한 공기를 어떻게 자라게 하는가(How to Grow Fresh Air)』라는 책을 통해 다양한 오염물질을 잡는 식물들을 주활동 장소에 둘 것을 권하고 있다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능력이 특히 뛰어난 화초
    거베라, 관음죽, 국화, 나비란, 네프롤레피스, 대나무야자, 드라세나, 디펜바키아, 마지나타, 벤자민, 보스톤, 세이프리지야자, 스킨�서스, 스파티필름, 싱고니움, 아레카야자, 아이비, 엘레강스야자, 와네끼, 인도고무나무, 자넷크레이그, 피닉스야자, 필로덴드론, 행운목, 홍콩야자

    꽃이 오랜동안 피어있는 화초
    거베라, 꽃베고니아, 덴파레, 브리시아, 사계장미, 사계치자, 스파티필름, 심비디움, 시클라멘, 아나나스, 아키메네스, 아펠란드라, 아프리칸바이올렛, 안스륨, 애크미아, 온시디움, 임파챈스, 제라늄, 카랑코에, 틸란데시아, 포인세치아, 후쿠샤, 호접란,

    잎의 색깔이 아름다운 화초
    고드세피아나(백+녹/황+녹), 나비란(백+녹), 디펜바키아(황+녹/백+녹), 마지니타(적+녹/황+녹), 송오브인디아(황+녹), 렉스베고니아(적+백+녹), 사랑초(자주색/자주+녹), 산데리아나(황+백/황+녹), 시클라멘(은색+녹), 싱고니움(백+녹), 아글레오네마(백+녹), 아나나스(황+녹) 아이비(백+녹), 애플민트(백+황+녹), 와네끼(백+녹), 캔들플랜트(황+녹), 코딜라인(적+녹/적+황+녹), 콜레우스(황+적/황+적+녹), 크로톤(적+황+녹+주황/황+녹), 크리스탈안스륨(백+녹), 제라늄(자주+녹), 청목(황+녹), 칼라데아(은색+녹), 크로카타(자주색), 트라데스겐챠(백+녹/자주+녹), 페페로미아(황+녹), 프테리스(은색+녹), 포인세치아(적+녹/황+녹), 푸밀라고무나무(백+녹), 필레아(은색+녹), 하이포에스테스(백+녹/분홍+녹),
    * 백: 하얀색 황: 노란색 적: 빨간색 녹: 파란색 자주: 자주색

    꽃의 향기가 좋은 화초
    고드세피아나, 가는다리장구채(野), 감국(野), 곰취(野), 구름패랭이(野), 국화, 귤나무, 금새우란(野), 깅깡나무, 꽃치자, 남산제비꽃(野), 단풍잎제비꽃(野), 대엽풍란(野), 동양란, 라일락, 레몬나무, 르네브, 마르코폴로, 마삭줄(野), 만리향, 매화, 무스카리, 백자단, 백합, 보로니아, 브론펠시아, 석곡(野), 섬감국(野), 소엽풍란(野), 수선화, 스타게이저, 스텐호피아, 스토크, 아라비아바이올렛, 아마존릴리, 알리섬, 야래향, 야향화, 연꽃, 열매치자, 오렌지나무, 월귤나무(野), 으름덩굴, 은방울꽃(野), 인동(野), 자스민, 장미, 찔래꽃(野), 천리향, 털머위(野), 튜울립, 페츄니나(자주색), 프리뮬러(노랑색), 프리지아, 한란(野), 해당화(野), 행운목, 헬리오트로프, 홍자단, 헬리오트로프, 히야신스
    * (野)표시는 야생화.

    열매가 아름다운 화초
    군자란, 귤나무, 깅깡나무, 꽃고추, 꽃사과, 꽈리, 낙상홍, 레몬나무, 만량금, 무화과, 백가지, 백량금, 산호수, 석류, 열매치자, 여주, 오렌지나무, 예루살렘체리, 천량금, 파초, 피망, 풍선덩굴, 화초호박

    잎에서 향기가 나는 화초
    골드크레스트, 골든레몬타임, 구문초, 라벤다, 란타나, 레몬바베나, 레몬밤, 로즈마리, 로즈제라늄, 메리골드, 바실, 세이지, 스피아민트, 애플제라늄, 오데코롱민트, 율마, 제라늄, 캔들플랜트, 커리플랜트, 타임, 파인애플민트, 파인애플세이지, 페니로얄, 페퍼민트, 프리지드라벤다,

    잎새가 움직이는 화초
    끈끈이주걱, 미모사, 사랑초, 파리지옥

    행잉바스켓에 어울리는 화초
    게발선인장, 나비란, 넉줄고사리, 네프롤레피스, 러브체인, 마란타, 보스턴, 베고니아, 스킨�서스, 시서스, 아키메네스, 아스파라거스, 아이비, 아이비제라늄, 에스키난데스, 아이비제라늄, 카랑코에, 콜레우스, 콩란, 트라데스겐챠, 페츄니아, 페페로미아, 피토니아, 필레아, 하트덩굴, 한련화, 호야, 후쿠샤, 흰줄무늬달개비

    수경재배로 키울 수 있는 화초
    달개비류, 드라세나류, 덩굴싱고니움, 디펜바키아, 몬스테라, 부래옥잠, 사이프러스, 산데리아나, 수선화, 스킨�서스, 스파티필름, 싱고니움, 아글라오네마, 아마릴리스, 아이비, 옥시카디움, 워터래리스, 트라데스겐챠, 필레아, 필로덴드론, 행운목, 호야, 흰줄무늬달개비, 히야신스

    테라리움에 어울리는 화초
    나비란, 드라세나, 디펜바키아, 렉스베고니아, 마란타, 셀라지넬라, 스파티필름, 싱고니움, 아글라오네마, 아디안텀, 아스파라거스, 아이비, 아프리칸바이올렛, 안스륨, 애란, 테이블야자, 페페로미아, 푸밀라고무나무, 프테리스, 피토니아, 필레아,하이포스테스

    디쉬가든에 어울리는 화초
    각엽진산, 구근베고니아, 금사철, 나비란, 드라세나, 디펜바키아, 렉스베고니아, 마란타, 봉의꼬리, 세뿔석위, 선인장, 셀라지넬라, 스파티필름, 싱고니움, 아글라오네마, 아디안텀, 아스파라거스, 아이비, 아이차카, 아프리칸바이올렛, 안스륨, 애란, 율마, 은사철, 줄무늬석창포, 칼라듐, 테이블야자, 페페로미아, 푸밀라고무나무, 프테리스, 피토니아, 필레아, 하이포시스테스

    연못이나 돌확에 기르는 화초
    개구리밥, 네가래, 물달개비, 부래옥잠, 생이가래, 수련, 어리연꽃, 연, 워터래리스

    대형 플랜터에 어울리는 화초
    골드크레스트, 꽃베고니아, 꽃양배추, 란타나, 아이비, 아이비제라늄, 제라늄, 채송화, 콜레우스, 페츄니아, 포인세치아, 한련화

    '꽃상식 > 실내꾸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공간의 화분 및 인테리어 소품 배치  (0) 2007.09.12
    집안의 이런 화초 어때요?  (0) 2007.09.12
    화초,,,어디에 둘까  (0) 2007.09.12
    집안화초 건강을 부른다  (0) 2007.09.12
    집안 화초  (0) 2007.09.12

    관련글 더보기